K-패스는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교통카드입니다.
2025년부터는 기존의 일반, 청년, 저소득층 유형에 더해 '다자녀 가구' 유형이 신설되어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자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환급 지원 사업입니다.
2025년부터 참여 지자체가 기존 189개에서 21개가 추가되어 총 210개로 확대되었습니다.
한번 K-패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신청 방법
K-패스 신청 방법은?
1. 온라인 신청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후, 본인 인증을 거쳐 신청 절차를 진행합니다.
필요한 서류(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업로드합니다.
2. 모바일 앱
K-패스 전용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앱에서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을 완료한 후,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3. 은행 및 카드사 방문 신청
K-패스와 협력하는 은행이나 카드사 지점을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창구에서 K-패스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분증 및 기타 필요한 서류를 제출합니다.
4. 지자체 방문
지역 주민센터나 구청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현장에서 신청서를 작성하고,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 서류를 제출합니다.
신청 후, 심사 과정을 거쳐 K-패스 카드가 발급되며, 이용 가능한 지자체 및 카드사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 패스 신청 자격
K-패스의 신청 자격은?
1. 일반 이용자
대한민국 국민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청년
만 19세부터 만 34세 사이의 청년층.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년들이 대상입니다.
3. 저소득층
소득 기준에 따라 저소득층으로 분류된 가구의 구성원.
정부가 정한 기준에 따라 저소득층으로 분류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다자녀 가구 (2025년부터 신설)
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가구의 부모.
다자녀 가구는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자는 해당 자격에 맞는 서류를 제출하여 자격을 증명해야 하며, 자격 요건은 지자체나 카드사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K-패스 참여 지차체, 카드사
1. 다자녀 가구 혜택
대상
총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부모
환급률
자녀 2명: 교통비의 30% 환급
자녀 3명 이상: 교통비의 50% 환급
2. 참여 지자체 및 카드사 확대
지자체: 기존 189개에서 21개 지자체가 추가 참여하여 총 210개 지자체로 확대됩니다.
카드사: 기존 11개 카드사에서 13개 카드사로 늘어나며, 이용 가능한 카드도 27종에서 32종으로 확대됩니다.
<카드사별 지급일과 지급방식>
1. 7~ 10 영업일 이내 지급하는 카드사
2. 정해진 날짜에 지급하는 카드사
3. 내 결제일이 실제 지급일인 카드사